-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할까?나트륨 이온 배터리(SIB)의 개발은 여전히 전작인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뒤처져 있다. 그러나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 나트륨은 리튬보다 1,000배 더 풍부하며 나트륨 이온 배터리는 고출력, 고속 충전, 저온 작동이 특징이다.
-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배터리 팩을 쉽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BMS 솔루션하루 24시간 동안 에너지 그리드에 가해지는 다양한 부담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이 작업은 배터리 기반 그리드 지원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 솔루션과 ESS 개발 및 배포에서 이들이 제공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 산업 및 운송 시장의 모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유도형 위치 센서세상의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면서 모션 제어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모터를 효과적으로 구동하려면 속도와 위치를 설명하는 제어 입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센싱에는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각 기술은 서로 다른 속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다양한 회전 센싱 기술을 비교하고, 이러한 기술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현재 시장에 있는 최신 디바이스를 살펴보고자 한다.
- 재생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파력 발전(Wave Power)파력 발전(wave power)이 자연적 재생 에너지 솔루션으로서 부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파력 발전이 어떻게 바다 파도의 키네틱 에너지를 활용해서 전통적 에너지 기법들에 대한 지속가능한 대안을 제공하는지 알아본다.
- 원격 의료 모니터링에 주력하고 있는 의료 전문가많은 의료 전문가들은 원격 의료 모니터링 기술이 의료 서비스를 개선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반도체 기반의 새로운 기술은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법을 더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덜 외과적이면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만들 수 있다.
- 디지털화 및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하기오늘날 제조업체들은 증가하는 설계 및 생산의 복잡성과 출시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고려하면서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직원, 계약 업체, 공급업체 및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이때 효과적으로 협업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최신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 온라인 UPS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MOSFET, 그리고 드라이버AC 전원으로 작동하는 주요 애플리케이션에서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는 정전 시 임시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 전압이 사양 내에서 유지되도록 사용된다. 특히 부하가 주 전압의 하락이나 변동에 취약한 경우에는 더욱 중요하다.
-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게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Arm ASRArm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업스케일링을 위한 동급 최고의 오픈 소스 솔루션인 “Arm Accuracy Super Resolution”(Arm ASR)을 소개한다. 본문에서는 이에 대한 Arm의 접근 방식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오니 독자분들께서도 동참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블루투스 LE 연결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은 에코시스템의 발전과 초전력 소비 특성을 기반으로 휴대폰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이 글은 자동차에서 무선 연결 사용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블루투스 LE의 현재와 향후 잠재적 적용 사례를 확인한다.
- 헤드셋 매출의 향방, 하락세는 지속할 것인가?코로나 팬데믹이 발발하면서 기업이나 직장인들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는 속에서 증강 현실(AR), 가상 현실(VR), 혼합 현실(MR) 같은 기술이 좀더 확고하게 뿌리를 내릴 것으로 기대되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모든 여행이 중단된 상황에서 VR을 통해서 다른 세상으로 떠날 수 있다는 것이 좋았다. 이렇게 해서 흥미로운 새로운 시장이 부상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 실리콘 카바이드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향상이 글에서는 주거용 및 상업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의 토폴로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실리콘 MOFSET 또는 IGBT 스위치를 대체해 BES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세미의 엘리트 실리콘 카바이드(EliteSiC) 솔루션에 대해 알아본다.
- 인터넷의 ‘필터 버블(Filter Bubble)’ 깨부수기우리가 온라인에서 취하는 모든 행동이 치밀하게 수집되고 있으며, 우리의 관심에 목말라 하는 앱과 사이트들은 어떻게 해야 우리가 자신들을 선택하게 만들지 알게 되었다. 우리가 평소에 소비하는 것과 비슷한 콘텐츠들에만 노출되는 현상을 ‘필터 버블(Filter Bubble)’이라고 한다. 사이트와 웹들이 우리가 관심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콘텐츠들을 필터링하면 결국 우리는 개인화된 버블 안에 갇히게 되고 그 속에서 볼링 경기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 결정론, 새로운 이더넷 애플리케이션을 열다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성능에서 다른 부분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더 많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다. 예를 들어, 공장, 건물의 센서와 액추에이터는 데이터가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엣지’에서 작동하려면 다른 사항들이 요구된다.
- 센서를 이용한 소방관들의 안전 개선재난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소지하는 응급 구조 장비들 외에도, 이들의 안전을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해서 팀원 중의 누군가 심박수나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여타 생체 데이터가 변화되는 것을 감독관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환경 센서들을 사용해서 주변 환경으로 어떠한 유독성 화학 물질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 동적 전압 스케일링을 활용한 정밀 전압 레귤레이션이 글에서는 동적 전압 스케일링(DVS: Dynamic Voltage Scaling)을 활용하여 정밀 전압 레귤레이션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DVS는 부하 트랜션트를 예상하여 출력 전압을 약간 높이거나 낮추도록 조절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특정 IC를 사용해서 신뢰할 수 있는 전압 모니터링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전기기계적 접속을 위한 1-Wire Contact Package 부착 방법이 글에서는 전기기계적 접속을 위한 아나로그디바이스(Analog Devices)의 특허기술인 1-Wire Contact Package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 패키징 솔루션과 비교해 1-Wire Contact Package 솔루션의 장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액세서리나 소모품에 이 솔루션을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기계적 특징들과 신뢰성 분석 정보들을 제공한다.
- 자율이동로봇 설계시 고려 사항과 솔루션자율이동로봇(AMR)은 제조, 물류와 창고, 농업, 소매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은 효율성 향상, 생산성 증대, 안전한 작업 환경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본 기고에서는 모터와 컨트롤러, 센서, 조명, 통신 인터페이스를 비롯한 AMR 애플리케이션과 구성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들에 대한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요구 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온세미의 적절한 솔루션도 제안한다.
- 차량용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IOXUS의 uSTART 울트라 커패시터차량용 모터는 정차 후 출발할 때마다 상당한 양의 연료를 소모하고 부품들을 더 빨리 마모시킨다. 이 글에서는 IOXUS의 uSTART 울트라 커패시터를 활용해서 차량이 정차했다 출발할 때 배터리와 함께 높은 출력을 제공함으로써 연료 소모를 저감하고 부품 마모를 늦추며 향상된 시스템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 소형 자산추적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소형 고효율 벅 컨버터오늘날에는 새로운 저전력 데이터 네트워크의 낮은 구축 비용 덕분에 자산 추적 솔루션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영향은 운송이나 공급망 관리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센서는 주어진 위치에서 업데이트를 하고 온도, 습도, 압력, 모션 같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센서는 소량의 데이터만 전송하면 되므로 커버리지를 높이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기기를 더 긴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센서의 배터리는 수 주일에서 길게는 수 년 동안 지속할 수 있어야 한다.
- 자동차 시스템 설계의 전력 밀도 높이는 상부 냉각 MOSFET완전 전기화와 마찬가지로 완전 자율주행은 차량 설계 및 제조에서 차세대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으로 지원되는 반자율주행은 이미 외부 센서와 온보드 카메라의 데이터 융합을 비롯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전자제어장치(ECU) 수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제어기의 전력 소비는 데이터 처리량과 속도에 따라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