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중소형 AMOLED 시장, 전년대비 6% 감소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스마트폰 수요 위축으로 2022년 중소형 크기(9인치 이하) AMOLED의 전체 출하량은 7억 6,200만 대로 전년 대비 6% 감소했다. AMOLED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삼성은 2022년 4억 2,900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선두 자리를 고수했으나, 시장 점유율은 2021년 61%에서 2022년 56%로 감소했다.
글로벌 300mm 팹 생산능력, 2026년 월 960만장에 이른다026년에 300mm팹의 생산능력이 월 960만장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메모리 및 로직 반도체에 대한 수요 약화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겠지만 2026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글로벌 팹 장비 지출액 2024년 회복세 전망2023년 글로벌 팹 장비 지출액은 2022년 역대 최고치인 980억 달러에서 22% 감소한 760억 달러가 예상된다. 올해 팹 장비 지출액의 감소세에는 반도체 수요약화와 모바일 및 일반 소비자용 전자기기의 재고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옴디아, 디지털 콘텐츠 및 채널 인텔리전스 서비스 보고서 출간옴디아(Omdia)가 ‘2023 디지털 콘텐츠 & 채널 인텔리전스 서비스(Omdia's Digital Content & Channels Intelligence Service) 보고서’를 발표했다. 옴디아는 2021년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한 콘텐츠 제작 지연 및 취소로 타격을 받았지만, 2022년에는 세계 유수의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작하는 오리지널 콘텐츠가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2년 반도체 시장 하락세에도 사상 최대 실적 기록반도체 시장이 2022년에 총수익 5,957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의 기록적인 수익인 5,928억 달러를 넘어선 수치다. 2022년 4분기는 전 분기 대비 9% 감소해 현재 침체 국면에서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2022년 4분기 수익인 1,324억 달러는 2021년 4분기 수익인 1,611억 달러의 82%에 불과하다.
LCD TV 제조업체 주문량 올해 2분기부터 증가할 것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한국 및 중국의 주요 TV 제조사의 LCD TV 패널 주문 수요가 마침내 회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옴디아는 50인치 이상 대형 화면 사이즈에 집중된 수요가 1억 6,140만대에 도달하거나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올해 2분기에 전년 대비 수요가 19% 재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XR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NED, 2023년 67% 성장AR, VR, MR을 비롯한 XR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NED(Near-eye display) 출하량이 2023년에 2,400만 대에 이르면서 연간 6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어려운 글로벌 경제 상황에도 5G 성장세 지속최신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5G 가입은 올해 말까지 10억 건을, 2028년 말까지는 50억 건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FWA(Fixed Wireless Access) 연결은 이전 예상치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시장, 8분기 연속 성장에 이어 하락세 돌입옴디아(Omdia)의 반도체 경쟁력 평가 도구(Competitive Landscape Tool, CLT)에 따르면 반도체 시장은 2020년 초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이례적으로 연속적인 수익 성장을 보였다. 이 기간에는 8분기 연속 수익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 두 분기 동안 시장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2022년 3분기 반도체 수익은 1,470억 달러로, 이전 분기의 1,580억 달러보다 7% 감소했다.
LTPO-AMOLED,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 주도할 것옴디아(Omdia)의 최신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 트랙커에 따르면, 스마트폰용 LTPO-AMOLED는 침체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2022년 말까지 전년 대비 94% 성장하고,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5%의 성장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3년 디스플레이 수요 6.2% 증가 전망옴디아(Omdia)는 최근 발표한 디스플레이 중장기 수요 예측 보고서 에서 2023년 디스플레이 면적 수요가 전년 대비 6.2%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플레이션 완화와 금리 인상이 둔화되고, 수요 급감 현상이 끝나감에 따라 2023년 하반기에는 디스플레이 수요가 다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4.8% 증가로 신기록 달성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는 2022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4.8% 상승한147억 제곱 인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거시 경제가 둔화됨에 따라 2023년의 웨이퍼 출하량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데이터 센터, 자동차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반도체에 대한 강력한 수요로 인해 2024년부터는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7.6% 감소옴디아의 최신 스마트폰 2022년 3분기 출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3억 120만대로 조사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6% 감소한 수치이지만 전 분기에 비해 2.5% 증가한 수치다.
2022년 3분기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신기록 달성SEMI에 따르면, 2022년 3분기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직전 분기 대비 약 1% 상승한 37억 4100만 제곱 인치로 집계되었다. 이번 분기는 작년 동기 대비 약 2.5% 성장한 수치이다.
5G는 이미 메타버스로 향하고 있다5G: Next Wave라고 불리는 에릭슨 컨슈머랩 보고서는 5G가 다양한 국가에서 출시된 이후 얼리 어답터 소비자에게 미친 영향과 5G를 아직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가 5G를 채택하려는 의도와 관련 기대치를 측정했다. 이 보고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최소 30%가 내년 안에 5G에 가입할 의향이 있다고 예측했다.
300mm 반도체 팹 생산량 2025년 최고치 기록 전망전세계 300mm 반도체 생산 능력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10% 성장하면서 2025년에는 월간 생산 능력이 약 920만장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EMI의 최신 3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수요와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생산 국가들의 정부 자금 지원 및 인센티브 프로그램으로 인해 강력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시장, 8분기 연속 성장세에 이어 3분기 연속 침체2022년 2분기 반도체 시장은 3분기 연속 매출 감소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2분기 매출은 2022년 1분기 매출 1,612억 달러(한화 약 225조원)에서 1,518억 달러(한화 약 212조원)로 1.9%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는 가장 길게 지속된 8분기 연속 반도체 성장세에 뒤이은 것이다.
2022년 전세계 반도체 장비 지출 전년대비 14.7% 증가2022년 전세계 반도체 장비 지출액은 1,175억 달러로 2021년의 1,025억 달러 대비 14.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SEMI가 세미콘 웨스트 2022 행사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지출액은 1,208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액 44% 증가SEMI의 최신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통계 보고서(Worldwide Semiconductor Equipment Market Statistics Report)에 따르면, 2021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전년 712억 달러 대비 44% 증가한 1,026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 연간 블루투스 디바이스 출하량 70억대 돌파 예상2020년은 펜데믹의 영향으로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변수가 있었던 시기였지만, 2021년에는 블루투스 시장이 빠르게 회복세를 보였다. 실제로 전문가들에 따르면, 2022년에는 초기에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빠르게 펜데믹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가들은 불루투스 기술이 탑재된 디바이스의 연간 출하량이5년 후에는 약 1.5배 늘어나서 2026년경에는 70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