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글로벌 수요 충족 위해 18개의 새로운 반도체 팹 건설 프로젝트 시작반도체 산업은 2025년에 18개의 새로운 팹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3개의 200mm 시설과 15개의 300mm 시설이 포함되며, 대부분은 2026년에서 2027년 사이에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주와 일본이 각각 4개의 프로젝트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중국과 유럽 및 중동 지역은 각각 3개의 건설 프로젝트로 3위를 차지했다. 대만은 2개의 예정된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과 동남아시아는 2025년에 각각 1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2024년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 전년 대비 19% 증가SEMI가 발표한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303억 8천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분기 대비 매출도 13% 성장했다.
IT 기기 지출, 2025년 사상 최고치인 8,050억 달러 도달 전망지난 3년간 변동을 겪은 IT 기기(데스크톱 PC,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폰, 프린터 포함) 지출규모는 2024년에 7,350억 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하며 급등했다. 이러한 상승세는 2025년에도 지속될 전망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Stocklytics.com의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과 소비자는 내년에 IT 기기에 8,05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 대비 7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이다.
글로벌 IC 매출, 2024년 3분기 전분기 대비 12% 증가2024년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의 주요 지표가 2년 만에 전부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즌성 요인과 AI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가 이러한 성장세를 주도하였으며, 소비자 제품, 자동차 및 산업용 반도체 분야의 회복은 더딘 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세는 올해 4분기에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증가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EMI가 발표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3분기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32억 1400만 제곱인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3분기의 30억 1,000만 제곱인치 대비 6.8% 증가한 수치이다.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2024년 약세 이어 2025년 강력 반등 예상최근 SEMI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2024년 2% 감소한 12억1,740만 평방인치(MSI)를 기록한 후, 2025년 10% 가량 강력한 반등세가 이어지며, 13억3,280만 평방인치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Global Semiconductor Packaging Material Market Outlook Shows Return to Growth Starting in 2024Powered by strong semiconductor demand across diverse end applications, the global semiconductor packaging materials market is expected to start a growth cycle with a 5.6%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projected through 2028, SEMI, TECHCET and TechSearch International announced today in their latest Global Semiconductor Packaging Materials Outlook (GSPMO) report.
AI PC, 2025년 PC 출하량 중 43% 차지할 전망올해 전 세계 AI PC 출하량은 전년 대비 99.8% 증가한 4,300만 대에 달할 것이며, 2025년에는 올해 대비 165.5% 증가한 총 1억 1,4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 2분기 반도체 장비 청구액 전년동기 대비 4% 증가SEMI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반도체 장비 청구액이 2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 직전 분기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컨슈머 전자제품 시장, 2024년 하락 이후 3% 성장전 세계 컨슈머 전자제품 매출 규모는 2024년에 5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지난 3년 동안 두 번째 하락이다. 이러한 흐름은 2025년 완만한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이지만, 이전과 같은 성장률에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의 저탄소 에너지 확대 및 조달을 위한 과제와 잠재적 해결방안SEMI의 에너지 협의체와 함께 반도체 기후 컨소시엄의 최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반도체 생태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83%가 전기 소비로 인한 간접 배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저탄소 에너지의 공급 확대가 기후 변화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업계의 대응책이라고 볼 수 있다.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전분기 대비 7% 증가SEMI에 따르면, 2024년 2분기의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30억 3500만 제곱인치로 전년 동기인 33억 3100만 제곱인치에 비해 8.9% 감소하였지만, 직전 분기 대비 7.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 1,090억 달러 전망SEMI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1,0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성장세는 2025년에도 유지되어, 전공정과 후공정 전부 성장하여 1,280억 달러라는 역사적인 수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반도체 생산능력, 올해 첫 5백만장 넘어선다SEMI의 최신 전세계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생산능력은 지속적인 칩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올해 6%, 내년 7% 성장하여 2025년에 월 3,370만 장(8인치 웨이퍼 환산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 1분기 반도체 장비 청구액 전년동기비 2% 하락2024년 1분기 반도체 장비 청구액이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264억 달러를 기록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전 분기 대비 6% 하락한 수치이다.
전자제품 판매 증가 및 재고 안정화로 반도체 산업 성장세 전망반도체 산업의 성장세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SEMI와 테크인사이츠가 발행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분기에 전자제품 판매 증가, 반도체 재고 안정화, 웨이퍼 팹 생산 능력 증가 등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 시그널이 포착되고 있으며, 성장세는 하반기에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 세계 반도체 재료 시장, 2023년 전년 대비 8.2% 하락2023년 전 세계 반도체 재료시장 매출이 667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였던 2022년 727억달러에서 8.2% 줄어든 수치이다. 2023년 웨이퍼 재료 관련 매출은 7.0% 감소한 415억달러로 드러났고, 같은 기간 패키징 재료 관련 매출은 10.1% 하락한 252억 달러로 나타났다. 실리콘, 포토레지스트, CMP 등의 부문은 웨이퍼 재료시장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2024년 1분기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5% 감소2024년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28억 3400만 제곱인치로 전분기 대비 5.4%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분기 32억 6500만 제곱인치보다 1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배포된 AI 솔루션은? “생성형 AI”생성형 AI가 기업에 가장 많이 배포된 AI 솔루션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트너(Gartner)가 작년 4분기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29%는 생성형 AI를 구축하여 사용 중이며, 가장 많이 배포하는 AI 솔루션으로 생성형 AI를 꼽았다.
2024년, 디스플레이 글래스 산업 공급부족 우려옴디아(Omdia)dml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글래스의 수급 균형이 우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미한 사고나 갑작스러운 주문 급증이 발생할 경우, 상당한 글래스 부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희소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글래스 시장의 역동적인 발전에 따라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그래픽 / 영상
많이 본 뉴스
카스퍼스키, 앱스토어 및 구글 플레이에서 ‘암호화폐 탈취’ 트로이 목마 ‘스파크캣(SparkCat)’ 발견
한국레노버, 레노버 최초 온디바이스 AI 태블릿 ‘요가 탭 플러스 AI’ 국내 공식 출시
테스토코리아, 대기 환경 오염 예방을 위한 산업용 가스 측정기 ‘testo 350K
피커링 인터페이스, 최근 스위칭 및 시뮬레이션 주요 성과, 혁신 및 실적을 되돌아 보다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용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연구 협력
텔레다인 플리어, Si2x 시리즈 산업용 음향 이미징 카메라 신제품 출시
KT SAT, 엑스웨이브원(XWAVE-ONE) 출시, 무궁화위성-스타링크 결합 통신 제공
스틸시리즈, 게임 스타일별 특화된 프리미엄 게이밍 마우스패드 ‘QcK Pro’ 시리즈 출시
에이수스, GTC 2025에서 NVIDIA GB300 NVL72 기반의 최신 AI POD 공개
CGD, 글로벌 전력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기 위해 3,200만 달러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