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컨텐츠 스트리밍을 위한 IEEE 802.15.3a
2004년 06월 10일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구글플러스로 보내기
point_746.jpg
최근 발표된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규격인 IEEE 802.15.3a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캠코더나 비디오, 오디오 장치와 같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제품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EEE 802.15.3a 규격은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표준(UWB)인 IEEE 802.15.3을 수정한 것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이후에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간섭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IEEE 802.15.3a는 첫 번째 전송 데이터가 완전히 전송될 때까지 특정 시간 슬롯을 예약해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스트림 데이터는 이를 방해할 수 없다. 또한 IEEE 802.15.3a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통신 채널에 영향을 미치는 무선 전화기의 노이즈 신호 등을 계속 감지해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무간섭 채널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IEEE 802.15.3a는 CRC(Cycle Redundancy Check) 기술을 사용해 손실된 패킷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패킷이 손실된 경우 이를 즉시 재전송할 수 있다. IEEE 802.15.3a는 100야드 정도 떨어진 곳에서 55Mbps의 데이터 전송율을 가지는데, 이는 IEEE 802.15.3과 동일하며, 멀티미디어 트래픽 전송에는 충분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가전 업체와 PC 업체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 Wi-Fi LAN 기술(IEEE 802.11)을 사용하는 제품을 개발 중인데, 이는 스트림형 트래픽을 위해서 만든 규격이 아니라 버스트(burst) 메시지 전송을 위해 만든 규격이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특정 시간을 예약해서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IEEE 802.11은 총 대역폭 중에서 30에서 40% 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지만, IEEE 802.15.3a는 80% 가량 사용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향후 고성능 디지털 콘텐츠 전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IEEE 802.15.3a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IEEE 802.15.3a는 UWB의 일종으로 UWB는 휴대폰에서처럼 좁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고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UWB 기술 사용을 승인하고 있지만, 그 외 많은 국가에서는 상업적인 목적의 UWB 기술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IEEE 802.15.3a의 성공은 얼마나 많은 국가들이 UWB 기술 사용을 승인하느냐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픽 / 영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