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임피던스 패키지 트레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2013년 10월 10일
트위터로 보내기페이스북으로 보내기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1_idt-0.png

전통적인 와이어 본딩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와 비교할 때, 플립 칩(flip-chip) 인터커넥트를 갖춘 디바이스는 높은 신호 밀도와 뛰어난 전기적 성능이 필요한 곳에서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유도성 와이어 본딩이 없는 플립 칩이 인터커넥트로는 가장 적합하지만 칩의 I/O 평면 계획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되지 않으면 성능 이점은 순식간에 줄어든다.

예를 들어 50Ω 이하의 송신 회선 임피던스가 요구되고 신호간 누화(crosstalk)가 낮아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신호를 스트립라인 모드로 전달해야 한다. 스트립라인 라우팅은 스트립라인 모드에서 신호가 칩으로부터 최적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칩 상의 범프를 배열해야 한다. 따라서 칩 상의 I/O 범프를 배열하려면 성능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우선 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 즉, 중요한 신호는 스트립라인으로, 덜 중요한 신호는 마이크로스트립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야 한다.

평면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중요한 신호가 바람직하지 못한 모드로 빠져나가게 되어 결국 신호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패키지 차원에서도 필요한 것보다 많은 수의 레이어를 기판에 사용하게 되어 제조 원가를 증가시킨다. 이 글에서는 차선의 칩 평면 계획과 관련한 특정 문제점을 중요하게 살펴보고, 성능 문제를 줄이면서 필요한 기판의 레이어 수를 제한하는 기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순차 빌드업(SBU) 기판 기술
플립 칩 인터커넥터를 갖는 대부분의 디바이스는 SBU(Sequential Build-Up) 기법을 사용해 제작되는 패키지 기판과 짝을 이룬다. 패키지 기판에는 기존의 기판 제조 과정을 사용해 단일 코어를 회로화한 뒤 더 조밀한 회로층의 빌드업을 위한 바탕으로 사용한다. 유전체(dielectric)층은 코어의 상단과 하단에 대칭으로 놓아 액막(liquid film) 또는 건막(dry film)에 경화의 형태로 응력의 균형을 통해 기계적인 평평함을 유지한다. 그 후 제 위치에 둔 유전체층에 레이저 드릴링을 사용해 비아를 뚫어 층간 회로를 연결한다. 회로는 SAP(semi-additive process) 공법을 사용해 각각의 층 위에 적층한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유전체와 금속층을 놓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에칭 공정으로는 만들어낼 수 없는 더욱 향상된 지오메트리(최대 12㎛ 트레이스 폭)를 갖춘 금속 트레이스 공정이 가능해진다.

전형적인 SBU 스택업의 단면도는 다음과 같다.
11_idt-1.png

고주파 애플리케이션용 신호 라우팅 최적화
인터커넥트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누화를 최소화하는 것은 고주파 애플리케이션의 신호 충실도를 최적화할 때의 주요한 목표다. 시스템이 50Ω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하면 각각의 송수신기 채널은 그러한 임피던스를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호 경로를 따라 임피던스에 변화가 발생하면 신호가 지나치게 반사되어 데이터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임피던스 변화의 정도에 따라 심할 경우 시스템이 완전히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다.

손실이 없는 환경이라고 하면 인터커넥트 임피던스는 전적으로 구조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의 비율을 의미한다. 인덕턴스는 신호 경로 및 리턴 경로가 형성하는 루프 영역이 제어한다. 커패시던트는 보통 트레이스 폭, 리턴 경로까지의 거리, 트레이스와 리턴 경로 사이의 틈을 채운 물질의 유전율에 따라 결정된다. 트레이스 폭이 넓을수록 커패시턴스는 높아지고 임피던스는 낮아지며 트레이스 폭이 좁아지면 그 반대가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스트립 모드(최외곽층)에서 라우팅을 할 때 SBU 타입 플립 칩 기판에서 50Ω 트레이스를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트레이스 폭을 60㎛로 맞추는 것이다. 60㎛ 폭의 라우팅 트레이스는 기판의 면적을 증가시켜 신호가 I/O 수가 많은 장치의 핀 사이를 효과적으로 빠져나가도록 할 뿐 아니라 신호 트레이스 사이의 라우팅 근접성(routing proximity)을 증가시켜 누화 잡음을 크게 증가시킨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30Ω 임피던스가 필요할 경우는 어떨까? 실제 트레이스 폭을 사용해 이 정도로 낮은 임피던스를 라우팅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마이크로스트립 환경에서 트레이스 커패시턴스는 트레이스의 한 면 위에만 있고 트레이스의 폭에 전적으로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판 내에 트레이스를 내장해 스트립라인 모드에서 라우팅을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트립라인 환경은 트레이스 양면의 리턴 경로면이 존재해 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트레이스 폭으로도 효과적으로 용량성 부하를 두 배로 늘리고 훨씬 낮은 임피던스를 달성할 수 있다.

아래의 그래프는 스트립라인과 마이크로스트립 환경일 때 전형적인 SBU 기판에서 라우팅되는 트레이스의 임피던스와 트레이스 폭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마이크로스트립 모드에서 50Ω 임피던스를 달성하려면 60㎛의 트레이스 폭이 필요하다. 반면 스트립라인 모드에서는 30㎛ 미만의 폭으로도 동일한 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어 라우팅 밀도를 크게 줄이고 누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_idt-2.png

IC 평면 계획 결정
깔끔한 리턴 경로는 트레이스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신호 통합에 관련된 문제를 피하는 데 중요하다. 1-2-1 SBU 기판의 경우, 상단 레이어 다음에 양면 코어, 그 다음에 솔더 볼이 부착되는 최종면이 온다. 코어층은 보통 신호 라우팅에는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 디바이스의 전원 및 접지를 위해 남겨놓는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첫 번째 마이크로스트립층이 유일한 라우팅층이고 시스템에 30 Ω 채널 임피던스가 필요할 때 이런 종류의 기판에서 이 값을 얻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림 1에 소개한 것과 같은 2-2-2 기판에서 보이는 또 다른 빌드업 라우팅 레이어에서, 트레이스는 레이어 2에 스트립라인 모드로 내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낮은 임피던스 라우팅을 확실히 구현할 수 있다.

패드가 한정된 디바이스에서는 피치(pitch)와 I/O 수가 칩의 크기를 결정한다. 물론 칩의 크기가 커지면 비용도 그에 따라 증가한다.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I/O 핀은 칩의 크기를 줄임과 동시에 동일한 성능을 구현하도록 동심원의 형태로 배열한다. 특정 패드 피치에서 현재 고전압 제작이 갖는 제약으로 인해 SBU 기판의 단일층 상에서는 최대 두 개의 원을 라우팅 할 수 있다. SBU 기판에서 라우팅층을 2개, 3개로 늘이면 원은 4개, 6개로 늘어난다.

예를 들어 4개의 I/O 동심원이 있는 디바이스라면 최소한 3-2-3 SBU 기판이 필요하다. 바깥의 원 2개는 마이크로스트립 모드에서 기판 스택업의 레이어1에서 빠져나간다. 레이어 1의 라우팅에 깨끗한 레퍼런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통 레이어2를 리턴 경로로 남겨두어야 한다. 그러면 레이어3은 다시 라우팅 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네 번째 층은 기판의 코어에 속하게 된다. 3-2-3 스택업은 칩 상의 I/O 핀에 대해 효과적으로 2개의 라우팅 층을 제공해 패키지 볼을 빠져나가고 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낮은 임피던스가 필요한 트레이스가 내부 층의 라우팅에 가장 적합한 것은 틀림 없다. 그러나 관련된 I/O 범프(칩 상의 연결)가 칩의 외부에 있으면 마이크로스트립 모드에서 이들을 라우팅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며 원하는 만큼의 낮은 임피던스를 구현하는 것 역시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들을 스트립라인 모드에서 내장해야 한다.

동일한 I/O 평면 계획을 사용하되 스트립라인 모드에서 I/O의 바깥 줄을 만들고 싶다면 SBU 기판은 4-2-4 스택업이어야 한다. 레이어1 은 리턴 경로용, 레이어2는 낮은 임피던스 트레이스 라우팅용, 레이어3은 또 다른 리턴 경로용, 레이어4는 또 다른 신호 라우팅 및 코어층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동일한 I/O 평면 계획으로 SBU 기판의 층 수가 증가해 패키지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그러나 칩의 평면 계획을 낮은 임피던스 라우팅이 필요한 I/O를 바깥의 두 동심원 대신 내부의 두 동심원에 두면 기판 라우팅 층을 추가할 필요가 없어져 패키지 비용을 낮추고 원하는 신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런 단순한 연습을 통해 칩의 평면 계획을 잘 알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사고 과정을 거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품 성능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IC 설계 및 패키징 팀 간의 상호 설계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도 다시 한 번 알게 된다. 각각의 부품을 시스템에 매끄럽게 통합하기 위해서는 패키지-PCB 인터페이스에서 이와 같은 평면 계획 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설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픽 / 영상
많이 본 뉴스